전기차가 점점 일상이 되어가고 있습니다.
하지만 여전히 많은 분들이 "BEV, PHEV, HEV, EV… 도대체 뭐가 뭔지 모르겠어요" 라고 말합니다.
이제는 단순한 자동차가 아니라 기술과 에너지의 융합체가 된 전기차.
이 글에서는 전기차 용어 핵심 키워드 10가지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.
1. EV (Electric Vehicle)
가장 넓은 의미에서 전기 구동으로 움직이는 모든 차량을 뜻합니다.
EV에는 BEV, PHEV, HEV 등이 포함됩니다.
2. BEV (Battery Electric Vehicle)
100% 전기로만 작동하는 순수 전기차입니다.
내연기관이 전혀 없고, 오직 배터리로 주행하며
대표 차량: 테슬라 모델 Y, 현대 아이오닉5, 기아 EV6 등
- 장점: 친환경적, 유지비 저렴
- 단점: 충전 인프라 의존도 높음
3. PHEV (Plug-in Hybrid Electric Vehicle)
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가 함께 작동합니다.
단거리(30~80km)는 전기로만 주행 가능하며, 충전도 가능하다는 점이 핵심.
- 대표 차량: 기아 니로 PHEV, 쏘렌토 PHEV
- 장점: 연료/전기 혼합으로 연비 우수
- 단점: 배터리 용량이 BEV보다 적음
4. HEV (Hybrid Electric Vehicle)
가장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차량입니다.
플러그로 충전할 수 없고, 자체적으로 충전하며 전기모터 보조만 해줍니다.
- 대표 차량: 토요타 프리우스, 현대 그랜저 HEV
- 장점: 충전 걱정 없음, 내연기관 대비 연비 개선
- 단점: 완전 전기주행 불가
5. FCEV (Fuel Cell Electric Vehicle)
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전기차입니다.
수소와 산소의 화학 반응으로 전기를 생성, 모터를 구동하는 구조입니다.
- 대표 차량: 현대 넥쏘
- 장점: 충전 시간 짧고 주행거리 길다
- 단점: 충전소 부족
6. kWh (킬로와트시)
전기차 배터리 용량 단위입니다.
가솔린차의 연료통처럼, kWh가 클수록 더 멀리 갑니다.
예: 72.6kWh 배터리는 400km 이상 주행 가능
7. 주행 거리 (Range)
한 번 충전으로 주행 가능한 거리입니다.
운전 습관, 외부 온도, 노면 상태 등에 따라 실제 주행거리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.
8. 회생제동 (Regenerative Braking)
감속 시 바퀴의 운동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해 배터리 충전.
연비 향상은 물론, 브레이크 패드 수명 연장에도 도움을 줍니다.
9. V2L / V2G
- V2L (Vehicle to Load): 전기차를 외부 기기 전원으로 사용하는 기능 (예: 캠핑 시 전기 사용)
- V2G (Vehicle to Grid): 전기차의 전기를 전력망에 되돌려주는 기능 (향후 기술 확장 예상)
10. 충전 방식 (AC vs DC)
- AC 충전(완속): 가정용, 시간 오래 걸림
- DC 충전(급속): 고속도로 휴게소 등에서 사용, 빠름
※ 급속만 자주 쓰면 배터리 수명에 영향 줄 수 있음
결론: EV 용어, 알고 타면 다릅니다
전기차는 단순히 '기름 대신 전기 넣는 차'가 아닙니다.
배터리, 충전 방식, 주행 알고리즘, 에너지 회수 기술 등
복합 기술이 집약된 첨단 모빌리티입니다.
따라서 위 용어들을 제대로 이해하면,
전기차 선택, 충전 전략, 유지 관리에 있어 훨씬 유리한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고용노동부 통상임금 노사지도 지침 개정 해설 – 실무 적용 기준 (3) | 2025.04.16 |
---|---|
타이어 마모 자가 진단법 (3) | 2025.04.15 |
자동차 와이퍼 소음 원인 & 교체 타이밍 완벽 가이드 (3) | 2025.04.14 |
자동차 오일 교체 시기 & 자가 점검법 완전 정리 (4) | 2025.04.14 |
자동차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 원인부터 해결까지 완벽 가이드! (4) | 2025.04.14 |